노년기에 접어들면 소득이 줄어들고 의료비, 생활비 부담이 커지기 마련입니다. 이에 정부에서는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저소득층 노인을 위해 다양한 지원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 대표적으로 생활비 지원(기초연금), 의료비 지원(건강보험료 경감 및 의료비 지원), 교통비 지원(대중교통 할인 및 교통비 바우처) 등이 있으며,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4년 기준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주요 정부지원금과 신청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생활비 지원 – 기초연금 및 긴급복지 지원
① 기초연금
기초연금은 소득이 적은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정부가 지원하는 생활비 보조금입니다.
✅ 지급 금액
- 2024년 기준 최대 월 32만 3,180원 지급
- 부부가 함께 받을 경우 최대 월 51만 7,080원 지급
✅ 신청 대상
- 만 65세 이상
-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국내 거주 중
-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 이하 (단독가구: 약 202만 원, 부부가구: 약 323만 원)
✅ 신청 방법
- 온라인 신청: 복지로
- 방문 신청: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
② 긴급복지 생계지원금
갑작스러운 경제적 위기(실직, 질병, 재난 등)로 생계가 어려워진 노인을 위한 단기 지원금입니다.
✅ 지급 금액
- 1인 가구 기준 월 62만 원 지급
- 2인 가구 기준 월 105만 원 지급
✅ 신청 방법
- 전화 신청: 보건복지 상담센터(☎ 129)
- 방문 신청: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
2. 의료비 지원 – 건강보험료 경감 및 무료 검진
① 건강보험료 경감
저소득층 노인의 건강보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보험료를 경감해 주는 제도입니다.
✅ 경감 대상
- 만 65세 이상 저소득층(중위소득 50% 이하)
- 지역가입자로서 소득이 적은 가구
✅ 경감 혜택
- 건강보험료 30~60% 감면
- 건강보험 본인 부담금 경감(외래진료 30% → 20%, 입원비 20% → 10%)
- 장기요양보험료 감면
✅ 신청 방법
-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지사 방문 신청
② 재난적 의료비 지원
고액의 병원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노인을 대상으로 정부가 의료비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✅ 지원 내용
- 본인 부담 의료비 50%~80% 지원
- 연간 최대 3,000만 원까지 지원
✅ 신청 방법
-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방문 또는 전화 신청(☎ 1577-1000)
③ 무료 건강검진
만 66세 이상 노인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무료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.
✅ 검진 항목
- 혈압, 혈당, 콜레스테롤 검사
- 암 검진(위암, 대장암, 폐암 등)
- 치매 선별 검사
✅ 신청 방법
-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검진 대상자에게 개별 안내 후 지정 병원에서 무료 검진 가능
3. 교통비 지원 – 대중교통 할인 및 교통비 바우처
① 노인 대중교통 할인
만 65세 이상 노인은 전국적으로 대중교통을 무료 또는 할인된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
✅ 혜택 내용